매년 가을이 되면 찾아오는 독감(인플루엔자), 단순한 감기로 여기기 쉽지만 폐렴 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임산부, 어르신이라면 반드시 예방 접종을 권장합니다. 국가가 지원하는 2025 독감 무료 접종 대상자와 기간, 그리고 유료 접종 시 비용과 백신 종류까지 한눈에 정리하였습니다.

목차
2025 독감 무료 접종 대상자 및 일정
질병관리청은 올해도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아래 대상자에게 무료 예방접종을 지원합니다. 대상자별로 접종 시작일이 다르므로 자신의 연령대에 맞는 일정을 꼭 확인하세요.
| 구분 | 대상 | 2025년 접종 시작일 | 2026년 종료일 |
|---|---|---|---|
| 어르신 | 만 75세 이상 (1950.12.31. 이전 출생) | 10월 15일(화) | 4월 30일 |
| 만 70~74세 (1951.1.~1955.12.) | 10월 20일(일) | 4월 30일 | |
| 만 65~69세 (1956.1.~1960.12.) | 10월 22일(화) | 4월 30일 | |
| 어린이 | 생후 6개월~만 13세 (2012.1.~2025.8.31. 출생) | 2회: 9월 22일 / 1회: 9월 29일 | 4월 30일 |
| 임산부 | 임신 주수 관계없이 모든 임신부 | 9월 29일(일) | 4월 30일 |
이외 무료 접종 대상
| 의료급여수급자 | 만 50~64세 (1961년 ~1975년 출생) | 25년 10월 15일 ~ 12월 31일 | 의료수급자증명서 지참 |
| 국가유공자(본인) | 만 50~64세 (1961년 ~1975년 출생) | 25년 10월 15일 ~ 12월 31일 | 국가유공자카드 지참 |
|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 만 14~64세 (1961.1. ~2011.12. 출생) | 25년 10월 15일 ~ 12월 31일 | 장애인복지카드 지참 |
| 이동시설, 정신시설 입소자 | 만 14~64세 (1961.1. ~2011.12. 출생) | 25년 10월 15일 ~ 12월 31일 | 대상자 증빙서류 |
💡 팁: 어르신은 연령대별로 접종 시작일이 다릅니다. 어린이·임산부는 9월 말부터 접종이 이미 시작되었으니, 가까운 지정 의료기관에서 미리 예약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언제 맞아야 가장 효과적일까?
- 항체 형성 기간: 접종 후 약 2주 정도 소요
- 독감 유행 시기: 12월 ~ 다음 해 2월
- 권장 접종 시기: 9월 말~11월 중순까지 완료
✅ 핵심 요약:
11월 이전에 접종을 마쳐야 겨울철 유행기에 가장 높은 예방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025년은 가을이 거의 없이 겨울이 되는 분위기 입니다. 최대한 빨리 접종 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5 독감 무료 접종 대상자가 아닌 경우
2025 독감 무료 접종 지원 대상자가 아닌 일반 성인, 청소년, 만성질환자 등은 전국 병·의원에서 유료로 접종 가능합니다.
비용 및 백신 종류
| 백신 종류 | 평균 비용(2025년 기준) | 비고 |
|---|---|---|
| 3가 백신 | 약 1.5만 ~ 3만 원 | 국가 무료 지원 기본형 (일부 지자체 3가 백신 사용) |
| 4가 백신 | 약 2만 ~ 4만 원 | 민간 의료기관에서 주로 사용, 예방 범위 넓음 |
| 고용량 백신(65세 이상) | 약 6만 ~ 7만 원 | 면역반응을 강화한 고령층용 백신 |
⚠️ 참고:
위 비용은 의료기관별·지역별로 다르며, 백신 재고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접종 전 방문할 병원에 전화 문의 후 예약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1. 무료 접종은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A.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위탁 의료기관에서 가능합니다.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어디서나 접종 가능합니다.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조회 가능 합니다.
Q2. 어린이는 몇 번 맞아야 하나요?
A. 2회 접종 대상 : 생애 첫 접종이거나 과거 접종 이력이 불확실한 생후 6개월~만 9세 미만 , 1회 접종 대상 : 과거 2회 이상 접종 이력이 있는 경우
Q3. 코로나19 백신과 함께 맞아도 되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두 백신을 동시에 접종해도 안전하며, 양쪽 팔에 나누어 맞는 것을 권장합니다. 당시 의사에게 말씀해주세요.
Q4. 부작용이 생기면 어떻게 하나요?
A. 대부분은 미열, 팔 통증 등 경미한 증상이며 1~2일 내 호전됩니다. 고열, 호흡곤란, 전신 발진 등 이상반응이 지속될 경우 즉시 접종기관 또는 관할 보건소에 연락해야 합니다.
지금 바로 무료 접종 기관 확인하기
올겨울 독감으로부터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예방 접종입니다. 무료 대상자는 반드시 기간 내에 접종을 완료하세요.
👉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바로가기
👉 보건소 및 위탁 의료기관 전화 문의 후 방문 예약